blog(15)
-
2012 문화예술 트렌드 분석 및 전망
요약올해에 나타난 문화예술 분야의 변화 징후들을 포착하고, 이를 바탕으로 2012년 문화예술 트렌드를 전망한 이번 연구는 문화부가 한국문화관광연구원(원장대행 정광렬)에 의뢰하여, 지난 8월부터 12월까지 넉 달 동안 3단계에 걸친 심층적인 전문가 조사와 연구 등으로 진행되었다. ‘누리소통망(SNS)과 유튜브를 타고 신한류를 이끄는 케이팝(K-POP)’, ‘주 5일제 수업의 전면적인 도입에 따른 가족여가의 새로운 발견: 문화예술로 함께 즐긴다’, ‘장르의 옷을 벗고 융·복합(convergence)으로 무한 변신하는 예술’ 등이 내년도 문화예술 분야의 새로운 흐름(trend)으로 전망되었다. 목차1. 케이팝(K-POP), 누리소통망(SNS)과 유튜브를 타고 신한류를 이끈다. 2. TV, 바보상자에서 뜨거운 ..
2012.01.31 -
사물놀이의 탄생
사물놀이는 우리전통문화인 풍물과 무속음악의 결합에서 시작돈 새로운 전통문화이다. 그 이름이 처음 불려지게된것은 1978년 공간사랑에서의 데뷰 공연에서 시작된다. 5살때부터 남사당에 들어가 양도일선생, 남운용선생, 송순갑 선생으로부터 온갖 기예를 사사 받은 김덕수. 남운용 행중에서 최성구, 양도일선생 등으로부터 기예를 배운 김용배. 역시 남사당에서 김복섭스님, 이성호 선생으로부터 비나리를 전수받은 이광수. 삼천포 지역에서 당대의 소고잡이로 인정받고 있던 최종실. 이들의 만남은 사물놀이의 탄생에 있어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때에 과거 전문예인유랑집단으로써 이름을 날리던 남사당에서 잔뼈가 굵은 20대의 젊은이들이 있었다. 한때는 판이 벌어지면 온갖 귀염과 사랑을 독차지하며 몇몫의 놀이채를 받던..
2007.05.31 -
사물놀이란
풍물굿1)은 예부터 우리 민족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시대의 변천에 맞추어 함께 변화하며 공존해 왔다. 시간이 흘러 시대가 바뀌어 감에 따라 풍물굿 역시 많은 변화를 가져 왔으며, 지금도 여러 가지의 유형과 끊임없는 새로운 시도로 많은 변화를 추구하며 존재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풍물은 사물놀이라는 이름으로 다시 태어났다.사물놀이는 풍물에서 쓰이는 장단들을 모아서 현대적 무대공연에 적합하게 재구성하여 고도로 숙련된 기량으로 흥과 신명을 담아 연주하는 것이다. 사물놀이의 출연은 무속음악에서 시나위가 생겨나고 시나위에서 산조가 생성된 것과 같은 맥락으로 풍물과 무속음악에서 발전적 연주형태로 이해된다.사물놀이는 1978년 김덕수 사물놀이패에 의해 등장 이후 전 세계적으로 급속히 확산되면서 많은 이들에게 ..
2007.05.31